인니어 모음에 이어, 인니어 자음에 대해 알아볼까요 :)
단자음부터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b [베] |
bagus [바구스] 좋은(사물), baik [바익] 좋은(사람) |
c [쩨] |
cuci [쭈찌] 씻다, cukup [쭈꿉] 충분한 |
d [데] |
dalam [달람] 안, daun [다운] 나뭇잎 |
f [에프] |
film [필름] 영화, foto [포또] 사진 |
g [게] |
garam [가람] 소금, gelas [글라스] 유리잔 |
h [하] |
hutan [우딴] 숲, hujan [후잔] 비 |
j [제] |
jalan [잘란] 길, jam [잠] 시간, jatuh [자뚜ㅎ] 떨어뜨리다 |
k [까] |
kaca [까짜] 유리, kopi [꼬삐] 커피, kulit [꿀릿] 피부 |
l [엘] |
lampu [람뿌] 전등, lapar [라빠르] 배고픈 |
m [엠] |
mata [마따] 눈, mobil [모빌] 자동차, motor [모또르] 오토바이 |
n [엔] |
nama [나마] 이름, nomor [노모르] 숫자 |
p [뻬] |
pakai [빠까이] 사용하다, 착용하다 putra [뿌뜨라] 왕자& putri [뿌뜨리] 공주 |
q [큐] |
|
r [에르] |
rajin [라진] 부지런한, rokok [로꼭] 담배 |
s [에스] |
sepeda [스뻬다] 자전거, sekolah [스꼴라ㅎ] 학교 |
t [떼] |
tahan [따한] 참다, tangan [땅안] 손 |
v [붸] |
|
x [엑스] |
|
z [젯] |
izin [이진] 허락하다 |
발음법 그대로 읽어주시면 되고요, 모두 자주 쓰이는 단어들이니 외워두면 좋겠죠 :)
추가적으로 설명이 필요한 단어들을 살펴보도록 할게요.
b[베]로 시작하는 단어에서 baik[바익]과 bagus[바구스]부터 볼까요.
두 단어 모두 "좋은"이라는 뜻의 형용사에요.
하지만, baik은 사람을 bagus는 사물을 기준으로 쓰인다는 차이점이 있답니다.
orang baik[오랑 바익] 좋은 사람
HP yang bagus[하뻬 양 바구스] 좋은 휴대폰
참고로 알아두실 점, 인니어에서 모든 수식은 뒤에서 앞으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orang baik의 경우
orang 사람 + baik 좋은 = orang baik 좋은 사람
"좋은"이라는 형용사가 "사람"이라는 명사를 뒤에서 수식해주는 게 보이나요?
HP yang bagus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HP 휴대폰 + yang (관계대명사)앞 단어를 부가설명 + bagus 좋은 = HP yang bagus 좋은 휴대폰
"좋은"이라는 형용사가 "휴대폰"이라는 명사를 뒤에서부터 수식해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l[엘]의 발음상 특징을 알아볼게요.
dalam[달람] 안, film[필름] 영화, gelas[글라스] 유리잔, jalan[잘란] 길, kulit[꿀릿] 피부, sekolah[스꼴라ㅎ] 학교
위 단어들처럼 l[엘]이 단어 내 가운데 위치할 경우,
l[엘]의 "ㄹ" 발음이 앞 음절과 뒤 음절 양쪽 모두 영향을 끼치는 걸 알 수 있어요.
영어의 영향을 받은 단어들도 많이 보일거에요.
film[필름] 영화 : film
foto[포또] 사진 : photo
gelas[글라스] 유리잔 : glass
kopi[꼬삐] 커피 : coffee
lampu[람뿌] 전등 : lamp
mobil[모빌] 자동차 : automobile
motor[모또르] 오토바이 : motorcycle
nama[나마] 이름 : name
nomor[노모르] 숫자 : number
sekolah[스꼴라ㅎ] 학교 : school
그렇기에, 영어와 인니어를 연관지어 공부하면 일거양득이겠죠?
또, 인니어에서 재미있는 법칙 중 하나로 a와 i의 사용이 있는데요.
단어 끝에 a[아]가 붙으면 남자, i[이]가 붙으면 여자를 의미하는 단어들이 몇몇 있습니다.
putra[뿌뜨라] 왕자 ↔ putri[뿌뜨리] 공주
위의 예에서와 같이 putra와 putri가 있고요,
mahasiswa[마하시스와] 대학생 ↔ mahasiswi[마하시스위] 여대생 도 있어요.
그렇지만 mahasiswa가 꼭 남자대학생만을 의미하진 않고요,
요즘엔 모든 대학생을 통틀어 일컫을 때 쓰인답니다. 재밌죠? :)
이제 이중자음으로 넘어가볼게요.
kh [ㅋ+ㅎ] |
khas [카스] 고유의, 독특한, khusus [쿠수스] 특별한 |
ng [ㅇ] |
ngomong-omong [응오몽-오몽] 그건그렇고, ungu [웅우] 보라색 |
ny [ㄴ+이중모음] |
nyanyi [냐니] 노래하다, nyonya [뇨냐] 여자주인 |
kh와 ny부터 보겠습니다.
kh는 "ㅋ"발음과 "ㅎ"발음을 같이 해주는데, "ㅋ"발음을 경쾌하게 소리낸다는 느낌으로 읽으면 됩니다.
ny는 n의 "ㄴ"발음과 y의 이중모음 발음이 합쳐진 것으로, 뒤에 나오는 모음에 따라 냐녜니뇨뉴로 읽으면 되고요.
ng의 경우, n과 g 따로 보는게 아니라 한 세트로 보아야 해요.
단어에서 시작할 때에는 [응]으로 발음하고, 단어의 중간이나 끝에 위치할 때에는 "ㅇ"받침으로 발음하면 되요.
여기서 주의하실 점, ng는 한 세트이기 때문에 "n"과 "g" 따로 발음하면 안된다는거!!
ng[ㅇ] 한 번에 발음해야 한다는거!!
그 예로 ungu라는 단어를 볼까요?
un[운] 한 음절 + gu[구] 한 음절 = ungu[운구] : X
ung[웅] 한 음절 + u[우] 한 음절 = ungu[웅우] : O
어때요, 이해되시나요? :)
지금까지 인니어 자음과 각 자음별 단어들 및 특징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인니어에서 모든 수식은 뒤에서 앞으로 이루어진다.
l[엘]의 "ㄹ" 발음은 앞 음절과 뒤 음절 양쪽에 영향을 끼친다.
인니어에는 영어와 관련된 단어들이 많다.
단어 끝에 a[아]가 붙으면 남자, i[이]가 붙으면 여자를 의미한다.
ng는 한 세트이기 때문에 ng는 "ㅇ"받침으로 한 번에 발음해준다.
해당사항들 기억 꼭 하시고요!
다음번엔 인니어 의문사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